[소식] 가을맞이, 9월의 ‘다채로운 서울역사문화탐방’(8차, 9차, 10차) 사진 스케치
09-21
김영연(동아시아고고학연구소 연구실장)
2023년 〈다채로운 서울역사문화탐방〉은 서울역사편찬원이 주관하며 세계시민포럼이 운영하는 문화유산 답사로 서울에 거주하는 다양한 이주배경 가족들과 서울과 인천, 경기, 충남, 전북지역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유산 현장을 전문가와 함께 탐방하며 한국의 구성원이자 세계시민으로 성장해 나가고자 기획하였다.
9월의 문화탐방 사진스케치로 ‘8차 부여군 1박2일 탐방(11가족 31명 참여)’과 ‘9차 한성백제박물관 탐방(17가족 40명 참여)’의 ‘10차 국립민속박물관 탐방(11가족 28명 참여)’의 현장 풍경을 전한다.
1.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2일, 정림사지) 부여에 도착하여 처음 찾은 곳은 세계유산 백제유적지구의 하나인 사적 ‘정림사지’입니다. 백제 사비시기의 수도 한복판에 자리 잡았던 대표 사찰의 가람 배치를 살펴보고 높이 솟은 ‘정림사지 5층석탑’의 강하고 우아한 힘을 느꼈습니다.
2.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2일, 정림사지 박물관) 뜨거운 햇빛을 피할 수 있는 정림사지 박물관에서 발굴조사 과정과 출토유물을 보면서 백제 사비시대의 문화를 만났습니다.
3.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2일, 국립부여박물관) 탐방단을 반갑게 맞이한 윤형원 관장(국립김해박물관)의 안내로 먼저 특별강의를 들었습니다.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백제금동대향로는 한 마리의 봉황이 향로 꼭대기에 앉아 있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4.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2일, 국립부여박물관) 찬란한 백제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전시실이 많은데, 그 한복판에 보물 ‘부여석조’가 당당하게 놓여 있었습니다. 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쓰던 커다란 연꽃 장식과 백제 역사가 새겨진 돌은 관북리 왕궁터에 있었다고 합니다.
5.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2일, 국립부여박물관) ‘부여석조’가 천정의 돔스크린과 함께 디지털 실감영상관으로 변신합니다. 용모양의 받침, 연꽃이 표현된 몸체, 산악 모양의 뚜껑, 봉황 장식으로 백제인의 세계관을 상징하는 ‘백제금동대향로’의 세계가 펼쳐졌습니다.
6.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3일, 부소산성 낙화암) 부여탐방 이튿날은 부지런히 움직여 왕궁터 건물지로 보이는 관북리유적을 통해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한 부소산성 낙화암에 올라갔습니다. 백제의 멸망기까지 수도 사비를 방어하던 부소산성은 백마강을 감싸고 흐르는 산에 이중으로 쌓은 테뫼식산성(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쌓은 산성)입니다.
7. 8차 탐방: 부여군 1박 2일, 23.09.02.(토)~23.09.03.(일)
(9월 3일, 부여 백제문화단지) 부여 백제문화단지는 백제 사비궁, 능사, 위례성, 삼국시대 백제마을 경관을 실물 크기로 재현한 곳입니다. 서울로 떠나기 전에 들러서 연도 날리며 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8. 9차 탐방: 한성백제박물관, 23.09.09.(토)
(한성백제박물관 전경) 2천년 역사문화의 도시 서울에 남아있는 소중한 유산, 한성시기의 백제왕도 역사와 관련 깊은 유적들을 직접 보호·관리하는 박물관을 찾았습니다.
9. 9차 탐방: 한성백제박물관, 23.09.09.(토)
(한성백제박물관) 뱍물관에 들어서면 만나는 상징전시물은 발굴조사로 드러난 풍납토성의 성벽 단면입니다. 아랫변 너비 약 43m, 높이 9~11m로 추산되는 사다리꼴 성벽을 얇게 떼어낸 단면 앞에서 자세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10. 9차 탐방: 한성백제박물관, 23.09.09.(토)
(한성백제박물관) 이날은 한성백제박물관 유병하 전 관장의 특별한 강의가 이어졌습니다. 상설전시를 함께 돌아보면서 한강 유역의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까지 서울의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가 각축을 벌인 고대까지 깊이 있는 안내를 해주셨습니다.
11. 9차 탐방: 한성백제박물관, 23.09.09.(토)
(몽촌토성) 한성이 백제 수도인 시절에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서 왕도임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된 이야기를 들으면서 올림픽공원지구 안에 조성된 몽촌토성 역사탐방로를 따라 백제왕성 발굴지구까지 함께 걸었습니다.
12. 9차 탐방: 한성백제박물관, 23.09.09.(토)
(백제집자리전시관) 1988년도 몽촌토성 발굴조사에서 집자리 4곳을 보존한 전시관입니다. 토기, 화덕시설, 저장구덩이가 표시된 집자리 위에는 방안선을 덧그리고 실측 도구를 전시하는 등 현장감 있는 고고학 조사 현장을 보는 생생함이 느껴졌습니다.
13. 10차 탐방: 국립민속박물관, 23.09.16.(토)
(국립민속박물관 야외전시) 국립민속박물관 전통문화배움터에서 민속연구과 정연학 학예관이 한국인의 삶과 전통, 우리민속의 상징에 대한 특별강의를 들었습니다. 특강을 듣고 나니 다양한 장승과 솟대, 제주도 하르방의 비밀, 오촌댁 살림까지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었습니다.
14. 10차 탐방: 국립민속박물관, 23.09.16.(토)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매듭’)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 ‘매듭’ 전시유물을 기증하신 이부자 장인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정연학 학예관의 소개로 인사를 나누고 ‘이부자 장인’의 다정한 전시 안내와 해설을 들었습니다. 서로가 고마운 특별하고 소중한 시간을 잊지 않겠습니다.
15. 10차 탐방: 국립민속박물관, 23.09.16.(토)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 계절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되풀이되는 한국인의 일 년, 한옥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상설전 2실과 한국인으로 태어나 죽을 때까지 겪게 되는 이런저런 삶을 보여주는 상설전 3실을 돌아보았습니다.
16. 10차 탐방: 국립민속박물관, 23.09.16.(토)
(국립민속박물관 70-80 추억의거리) 서울지역 동네 골목을 재현한 옛 국민학교 앞 정겨운 구멍가게, 문방구, 만화방, 이발소를 지나, 동네 목욕탕까지 낯설지만 정겨운 드라마의 한 장면 같은 풍경이었습니다.
#세계시민포럼 #GlobalCitizenshipForum #서울역사편찬원 #동아시아고고학연구소 #다채로운_서울역사문화탐방 #세계시민 #GlobalCitizen #세계시민정신 #GlobalCitizenSpirit #한국문화탐방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국립부여박물관 #몽촌토성 #풍납토성 #한성백제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